서비스업에 대한 정책적 관심 부족 지적

“산업별 맞춤형 일자리 정책 추진 필요”

부산산업과학혁신원 로고.
부산산업과학혁신원 로고.

“일자리는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산업정책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확보한다면, 경제성장을 통해 미래의 일자리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다만 현실적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은 대부분 고용 창출력이 적은 산업으로 일자리 창출에는 한계가 있다.”

부산산업과학혁신원(BISTEP, 비스텝)은 21일 ‘일자리 정책 관점에서 본 부산 산업의 특성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비스텝은 일자리 관점에서 부산의 산업을 되돌아보고 주목해 볼 산업을 제안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의 일자리 창출 관점에서 투자 대비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내는 산업이다. 평균임금이 높으면서도 성장하고 있는 산업은 대부분 서비스업이었다. 혁신정책이나 산업정책 관점에서는 생산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제조업이 보다 각광을 받는 경향이 있어서 서비스업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보고서는 일자리 파급력이 높으나 혁신정책 관점의 주목도가 떨어지는 산업들에 대해서 일자리 관점에서 중요성을 지적했다. 예를 들어 사회복지(사회서비스) 산업은 일자리 창출력이 높은 부산의 고용 성장 산업이다. 급속하게 고령화되는 부산의 현실을 고려해 볼 때 향후 시장의 확대도 예상된다. 사회복지업은 고부가가치 제조업도 아니고 평균임금이 높은 지식서비스업도 아니기 때문에 산업정책 관점에서는 관심을 받기 어려운 반면, 일자리창출력이 높고 성장하고 있는 산업이기 때문에 일자리정책의 관점에서 중요성이 높다.

비스텝 이우평 선임연구원은 “일자리와 산업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 일자리정책 의사결정자 또한 산업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일자리정책 관점에서는 산업의 특징에 관심이 적었다”며, “앞으로는 산업별 맞춤형 일자리 전략을 통해 정책의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고 이를 뒷받침할 산업분석이 활발하게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원동화 기자 dhwon@busaneconomy.com

저작권자 © NBN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